동영상/부산친구들 10

지리산종주(1999년 7월16일~17일)

지리산종주(1999년7월16일금요일~17일토요일)   일시:1999년 7월15일저녁~7월17일(산행은 1박2일)종주경로: 성삼재-노고단-삼도봉-연하천대피소-벽소령대피소-세석대피소-장터목대피소-천 왕봉(1915m)-중봉-하봉-국골-추성리참가자: 대구계성고63회 권호종,김영종,박기붕,장희석     지리산 서쪽의 최고봉 노고단에서 천왕봉을 지나 여러 하산 길 중의 하나를 택하는 남한 단일산의 등반 코스중 가장 최장의 코스(52km)이며, 해발 1300m~1915m의 고봉준령(高捧駿嶺)을 넘어야하는 지리산 종주는 정신력, 체력이 어느 때 보다 필요한 등반이기에 지리산 천왕봉을 전에 칠선계곡으로 올라 백무동으로 같이 내려 온 적이 있는 나 포함 고교동기 네사람(대구계성고 권호종,..

[스크랩] 낙남정맥 2구간 산행 (1)

이번 낙남정맥 두번째 구간 : 나밭고개에서 냉정고개함께 한 사람들은 박기붕, 장희석, 김영종, 김영숙, 김민경, 윤시내. 툭툭 끊긴 산길을 오르막길~ 내리막길~완죤 지치게 만드는 괴씸한 구간이였다.마지막까지 우리를 괴롭힌 내삼저수지 코스는 꺄악~ 최악.넘어진 궁둥이 또 찧어서 퉁퉁 붓게 만든 나쁜 코스~ 느긋하게 김해에서 돼지국밥 한 그릇씩하고오전 9시 20분경 가야CC에서 나밭고개 뚝 잘라묵고(좋아라 하며)다시는 찾아오지 못할 것 같은 어느 여호와의 동산(?) 연수원에서 산행을 시작했다.   역시 첫 오르막길은 힘들다. 산등성이까지 몰아부쳐 한 숨 돌렸다.   이번 산행의 두 게스트, 이쁜이 김민경, 윤시내. 그녀들의 고생줄은 여기서부터 시작이였다.   늘 이란성 쌍둥이처럼 붙어 다니던 그녀들. 저 연..

[스크랩] 낙남정맥 첫 산행 (4)

동 신어산과 동봉 신어산을 지나 신어산 정상에서 스카치 위스키 싱글몰트 한잔씩에 치즈 한조각씩 먹었다.순하고 부드러운 목넘김을 가진 그러면서 자신을 강하게 드러낸 스코틀랜드산 오리지널 위스키!은하사 위에 앉아 대가야(?)를 바라보며 애잔한 스코틀랜드의 恨을 숙성시킨 스카치 한잔들며 건배!를 외쳤다.    차례대로 우비형제 진. 선. 미~     바위균열의 틈들이 마치 부처의 얼굴처럼 보였다.     마지막 내리막길~거의 14Km에 육박하는 거리는 누구의 노래처럼 오르막길~ 내리말길~가야 CC로 내려가는 길은 찍어 내리 듯이 가팔랐다.습기까지 더해 바위는 미끄러웠고 산행 막바지에 풀린 다리는 무릎 통증을 수반하였다.아침 8시반 경부터 시작했나?하산은 거의 4시 30분이 다 되었다.(제가 잘못 기억하고 있을..

[스크랩] 낙남정맥 첫 산행 (4)

동 신어산과 동봉 신어산을 지나 신어산 정상에서 스카치 위스키 싱글몰트 한잔씩에 치즈 한조각씩 먹었다.순하고 부드러운 목넘김을 가진 그러면서 자신을 강하게 드러낸 스코틀랜드산 오리지널 위스키!은하사 위에 앉아 대가야(?)를 바라보며 애잔한 스코틀랜드의 恨을 숙성시킨 스카치 한잔들며 건배!를 외쳤다.    차례대로 우비형제 진. 선. 미~     바위균열의 틈들이 마치 부처의 얼굴처럼 보였다.     마지막 내리막길~거의 14Km에 육박하는 거리는 누구의 노래처럼 오르막길~ 내리말길~가야 CC로 내려가는 길은 찍어 내리 듯이 가팔랐다.습기까지 더해 바위는 미끄러웠고 산행 막바지에 풀린 다리는 무릎 통증을 수반하였다.아침 8시반 경부터 시작했나?하산은 거의 4시 30분이 다 되었다.(제가 잘못 기억하고 있을..

[스크랩] 낙남정맥 첫 산행 (3)

잔뜩 찌푸린 하늘에서 비가 떨어졌다.빡빡한 수증기로 낙동강은 시야에서 없어졌지만산 속은 오히려 폭닥한 이불을 덮은 듯 안정된 공기 속이였다.낙동정맥과 오누이 같은 느낌의 낙남정맥의 이어진 산 길은 순하고 부드러웠다.모세혈관처럼 더 내밀한 산길이라 갈래길에서 길 잃는 것을 주의하며 리본이 달린 갈림길에선 항상 신중하게 선택했다.     산의 정령처럼 묘하게 생긴 바위 옆에선 등걸이 두껍고 거친 비늘을 가진 소나무 한 그루씩이 서로를지켜주듯 커플을 이루고 있었다.저 나무와 바위 어딘가에 과거로 가는 문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아이폰 타령이다.쉬는 시간이면 어김없이 폰으로 뭔가를 탐색했다. 아이폰 마스터 중~~장 선생님의 카본커버가 수신률을 떨어뜨린다 하셨다.알아본 바, 당연하다고 한다.왜냐면, 고체는 천..

[스크랩] 낙남정맥 첫 산행 (2)

굽이 굽이 흐르는 낙동강을 바라보며 무엇을 생각하는 걸까요?4대강 사업? 우리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나?저기가 어디뫼뇨?늘 산 위에 올라 아래를 바라보면 반사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인간들,,, 이 넓고 넓은 광활한 공간 놔 두고, 저 아래, 저 땅 위 밖에 디딜줄 모르는 바보탱이들.불쌍한 것들.         이번 산행을 힘들어 했다.낙동정맥을 마치고 처음으로 하는 장거리 종주라 더 힘들어 하셨다.산길을 날아 다니시던 박 선생님도 가쁜 숨과 소나기 같은 땀을 흘리셨다. 이상한 나라의 神漁山인가?걸은만큼의 시간과 거리가 자꾸 맞지 않는다고 지도를 펼치고 또 펼치고,빠르게 가는 시간과 느리게 가는 거리의 차이 인식에 등고선과 포인트 확인에의문을 던진다. 사용법을 잊어버린 밧데리 희미한 뚜벅이 누르고 또..

[스크랩] 낙남정맥 첫 산행 (1)

낙남정맥을 드디어 시작했다.2010년 3월 20일 셋째 주 토요일.강한 바람과 함께 자욱한 비구름으로 인해 지리산에서 부터 시작하고 했던 낙남의 첫 산행은 가까운 김해 상동면 매리에서 첫 개시를 하였다.함께 한 분들 박 기붕 선생님, 장 희석 선생님, 김 영종 교수님, 그리고 나 김영숙.이번 낙남 정맥도 함께 가고자 하셨던 분들 여럿 있었지만 역시 정예 멤버로 산뜻하게 출발.         하늘은 잔뜩 찌푸려 있었고 습습한 공기로 인해 금방 비라도 내릴 듯이, 심한 황사로 나들이 자제를 알리는 재난 메세지까지 온 그날 이른 아침,퍽퍽한 황사공기 헤치고 다시 오기 힘든 우리 국토의 어느 깊은 산골짜기를 밟기 시작했다. 왼쪽으로 낙동강을 끼고 다시 그 옆으로 국토 한 가운데를 세로로 달리는 고속도로 위로, ..

낙동정맥 등반완료

2006년3월 계성고63회동기 6명이태백에서 시작한 449km의 낙동정맥산행이2009년10월17일 부산몰운대에서 끝났다.이제 다시 지리산 영신봉에서 시작하는 낙남정맥이다. 사진우측부터강구정 권호종 박기붕 김영종 이광식 장희석   3년전에는 그래도 조금 싱싱했는데 세월이? (부산 몰운대에서 마무리한컷)      김영종  접니다.  이광식  강구정